설 성수품 할인 16만 8000톤 제공! 600억 원 투입
설 성수품 공급 계획
농림축산식품부는 2025년 설을 맞아 10대 성수품을 평시대비 1.6배 수준인 16만 8000톤을 공급하기로 했다. 이와 더불어 600억 원의 역대 최대 규모 할인을 지원하여 28개 품목에 대한 소비자 부담을 줄이는 대책을 마련하였다. 이 대책은 소비자들이 설 명절 동안 필요로 하는 주요 소비품의 원활한 공급을 목표로 하며, 최근 동향을 반영하여 최적의 수급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식품업계도 자체 할인행사를 진행하여 소비자 부담 완화에 기여할 예정이다.
주요 품목 및 수급 방안
설 성수품의 주요 품목으로는 채소, 과일, 축산물 등이 있으며, 농식품부는 이들 품목의 수급 및 가격 동향을 점검하고 있다. 특히 배추와 무는 가정 소비가 줄어든 상황에서도 저장 수요가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도·소매 가격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정부는 배추와 무 부족에 대비하여 정부 비축물량 1만 1000톤을 하루 200톤 이상 방출하고, 계약재배 물량 또한 확대 공급할 예정이다. 수급 방안의 강화를 통해 안정적인 가격을 유지할 계획이다.
- 배추 및 무 가격 상승에 따른 대책 마련
- 정부 비축물량 배출 및 계약재배 확대
- 할당관세 조기 적용을 통한 수입품 공급 확대
소비자 가격 안정화 방안
농식품부는 설 명절에 대비해 소비자 가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시행 중이다. 특히 사과의 경우 생산량이 16.6% 증가했으며, 출하량 또한 증가하여 가격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과의 할인지원과 함께 지정출하 물량을 공급하여 가격 안정화를 추진하고 있다. 배는 생산 감소로 인해 가격이 높으며, 이 또한 계약재배 물량을 통해 해결할 예정이다.
축산물 및 가공식품 가격 안정화
축산물, 특히 돼지고기의 경우 안정적인 공급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가격은 전년 대비 소폭 상승한 상황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할인행사를 추진하고 있으며, 소비자 물가 부담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또한, 가공식품 역시 원자재 가격 상승 영향을 겪고 있으나, 고정 가격제를 통해 소비자 물가를 유지하고 있다. 산지 유통인과의 협력을 통해 가격 안정에 기여할 계획이다.
소비자 선호도 및 출하량 변화
과일 가격 동향 | 출하량 변화 | 소비자 가격 변동 |
사과: 가격 유지 중 | 출하량 증가 | 가격 안정 예상 |
배: 가격 상승 | 출하량 감소 | 가격 유지 |
감귤: 가격 증가 | 출하량 증가 | 소형과 감소 |
농식품부는 이러한 소비자 선호도의 변화를 반영하여 만감류, 딸기와 같은 품목의 공급을 늘려 나가고 있다. 특히, 딸기는 작황 개선으로 인해 가격이 소폭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며, 토마토 역시 양호한 생육 덕분에 출하량이 증가할 전망이다. 모든 품목에서 적절한 출하량을 고려하여 소비자 가격을 안정화할 계획이다.
설 성수기 다양한 접근 방식
정부는 설 성수기에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해 소득계층별로 가격이 안정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특히 더 많은 소비자 혜택을 위해 대규모 할인행사와 다양한 프로모션이 계획되어 있으며, 이는 경제적 여건이 어려운 소비자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다양한 품목에 대해 할인을 제공하고, 품목별 소비 패턴에 맞춘 최적의 수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농식품부의 지속적인 노력
농림축산식품부는 지속적인 수급 모니터링과 가격 동향 점검을 통해 소비자 물가 부담을 최소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품목별 특성과 소비자 요구를 반영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할인 및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소비 패턴에 맞춘 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모든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소비자 요구를 반영한 정책
소비자의 요구와 경제적 여건 변화에 맞춰, 농식품부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조정하고 있다. 각 품목군 별로 꼼꼼한 수급계획을 세우고, 필요할 경우 유통 정책을 조정해 소비자의 실제 필요에 부응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설 성수기 동안 소비자들이 안정적인 가격에 필요한 품목을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