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루쌀 수급안정 기여…농식품부 육성책 발표!
가루쌀 정책 개요
최근 정부가 가루쌀 재배면적을 1만 5600㏊에서 9500㏊로 조정하면서 가루쌀에 대한 정책이 조정되었다는 소식이 알려졌습니다. 이 결정은 여러 문제, 특히 수발아 문제와 종자 확보 차질, 그리고 수요 부족 등이 원인으로 꼽힙니다. 정부의 가루쌀 정책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가루쌀의 생산과 유통, 소비 등 여러 측면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루쌀 생산과 유통 체계
농식품부는 가루쌀을 통한 쌀 가공산업 활성화 대책을 마련하고 이를 통해 가루쌀의 생산과 유통을 안정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가루쌀 생산, 유통, 소비 사이클의 원활한 진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농식품부는 2024년 말까지 가루쌀 관련 성과와 문제점을 점검하고, 2024년 12월에는 「가루쌀 산업 육성 정책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안정적인 생산과 유통 체계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 가루쌀 수요를 촉진하기 위한 홍보 활동 및 제품화 지원 강화
- 안정적인 가루쌀 생산을 위한 재배 면적 조정 및 기술 전파
- 식품기업과 생산단 간 계약 출하 체계 구축 계획
2024년 가루쌀 수확 상황
2024년도에는 수발아 피해 이외에도 폭염, 강풍 등의 이상기상과 낮은 재배숙련도로 인해 가루쌀의 수확량이 감소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다각적인 대응 방안이 필요해졌습니다. 농식품부는 고온기 육묘 기술과 침수 피해 대응 방안을 포함한 표준 매뉴얼을 개편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생산단지를 중심으로 교육과 컨설팅을 강화하여 재배 안전성을 높일 계획입니다.
제품화 패키지 사업과 시장 반응
농식품부는 가루쌀 제품화 패키지 사업을 통해 180여 종의 가공식품과 200여 종의 제과·제빵 제품을 시장에 출시하였습니다. 가루쌀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지만,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제품 개선이 필요합니다. 이와 더불어, 고품질 가루쌀에 대한 연구개발을 지원하여 시장 경쟁력을 더욱 높일 방침입니다.
2025년 중장기 계획
재배면적 | 생산 기술 | 홍보 전략 |
9500㏊로 조정 | 기술 전파 및 강화 | 다양한 매체를 통한 홍보 |
2025년에는 안정적인 가루쌀 생산을 위한 재배 면적 조정과 재배 기술 전파가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또한, 가루쌀의 홍보 전략을 다양화하여 소비자 참여를 유도할 방침입니다. 이러한 계획들은 가루쌀 산업의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농식품부의 지원 방안
올해 농식품부는 가루쌀의 제품화 패키지 지원을 적극적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전문 생산단지에 대한 시설, 장비 및 교육 지원을 강화할 것입니다. 또한, 가루쌀을 재배하는 농업인에게는 전략작물 직불금을 지급하여 생산 유도를 할 계획입니다. 이외에도 정부는 생산 가루쌀에 대해 전략 공공비축미 매입 등 다양한 지원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소비자 참여 마케팅 전략
가루쌀의 신규 수요 창출을 위한 소비자 참여 마케팅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가루쌀 요리 영상 경진대회와 팝업 스토어 운영 등을 통해 소비자와의 소통을 늘릴 것입니다. 이러한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통해 가루쌀의 인지도를 높이고 소비자 참여를 이끌어낼 방침입니다.
가루쌀의 중요성
가루쌀은 우리나라 식량안보를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식량 수급 안정에 기여하고, 수입 밀가루 의존도를 낮추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농식품부는 농업인, 식품업계와의 소통을 강화하여 가루쌀 원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체계를 구축하는 데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입니다.
문의 및 추가 정보
가루쌀 관련 정책이나 사업에 대한 문의는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관 전략작물육성팀으로 하시면 됩니다. 전화번호는 044-201-2917입니다. 정책뉴스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나, 출처 표기를 반드시 지켜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