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팀 올해 녹색산업 22조 수출 성공 비결!
녹색산업 수주 및 수출 실적
환경부와 기업의 협력이 결실을 맺어 올해 기준 22조 7000억 원의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이번 성과는 환경부와 산업계가 ‘원팀(One-Team)’으로 협력한 결과로, 오만 그린수소 생산사업과 사우디아라비아 상하수도 설계 사업 등에서 16조 4937억 원의 수주 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602개 기업에서 6조 1693억 원의 녹색제품 수출이 이루어졌습니다. 작년에는 20조 4966억 원의 수주·수출 실적이 있었음을 감안할 때, 이러한 성장세는 국내기업의 지원과 기술력이 크게 향상되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녹색산업을 위한 지원 체계 확보
환경부는 73개의 협의체 참여기관과 밀접한 소통을 통해 녹색산업 수주·수출을 더욱 확대하기 위한 노력에 나섰습니다. 1대1 전략회의를 수시로 개최해 프로젝트별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맞춤형 지원방안을 수립하여 각국의 정부 및 발주처에 전달했습니다. 또한 16개국 현지에 녹색산업 지원단을 파견하여 사업 발굴, 협상, 사후 관리 등 전 과정을 지원했습니다.
- 국내기업의 기술력은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혁신적인 홍보 전략을 통해 해외시장 진입이 촉진되었습니다.
- 정부의 지속적인 재정 지원이 큰 도움이 됩니다.
성과보고회와 향후 지원 방향
17일 서울 임피리얼팰리스 호텔에서 열린 성과보고회에서 향후 지원 방향을 논의했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정부 및 산업계 관계자가 참석하여 수주지원단의 지속적인 파견, 전략회의의 정기적 개최 및 재정지원 확대 등의 내용을 논의하였습니다. 협의체 참여 기업들은 현재 추진 중인 해외사업 사례를 발표하고, 정부의 지원 확대를 건의했습니다.
정책적 지원 방안
정부는 기업들이 해외사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략적 지원 정책을 마련하였습니다. 예산 지원을 통해 기업들이 국제시장에 보다 쉽게 진출할 수 있도록 하고, 투자 확대 및 정부 간 협상을 통한 해외 진출을 촉진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한국의 녹색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경쟁력을 갖추게 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내 녹색산업 기술력의 세계적 경쟁력
프로젝트명 | 국가 | 수주액(원) |
오만 그린수소 생산사업 | 오만 | 10조원 |
사우디아라비아 상하수도 설계 | 사우디아라비아 | 6조원 |
한국의 녹색산업 기술력은 이미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이러한 성과를 통해 미래의 지속 가능성을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기업들은 정부의 지원 하에 기술 고도화를 이루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더욱 인정받고 있는 상황입니다.
녹색산업의 미래 비전
안세창 기후탄소정책실장은 국내기업의 기술력이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앞으로도 정책적, 재정적, 외교적 지원을 아낌없이 제공하여 지속적인 수주·수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러한 정부의 의지는 기업들이 해외 진출을 통해 한국의 녹색산업이 더욱 활성화되도록 돕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정부의 지속적 지원 방향
정부는 기업들이 해외 진출에 집중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지원해 나갈 것입니다. 예산 지원은 물론 장기적 투자 확대, 정부 간 협상 등의 방법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지원을 통해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녹색산업의 주도적 역할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기업들의 성과 및 요청사항
참여 기업들은 해외사업 추진의 어려움을 공유하며 정부의 추가 지원을 요청하였습니다. 이들은 특히 사업성 확보를 위한 추가적인 재정 지원, 복잡한 인허가 절차에 대한 지원 및 사업 종료 후에도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을 요청하였습니다. 이러한 요청들은 정부가 향후 지원 전략을 세우는 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예정입니다.
협업의 중요성
환경부와 산업계의 협력은 녹색산업의 수출 및 성장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사회적 이익을 극대화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이 함께 협력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성공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