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지원금 전년 대비 53% 증가한 534억 원!
2025년 중견기업 전용 연구개발 지원안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중견기업 전용 연구개발(R&D)에 총 534억 원을 지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지원 예산은 지난해의 350억 원에 비해 53% 증가한 것으로, 이는 중견기업의 기술 혁신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요한 투자로 본격化 됩니다. 올해는 31개의 신규 지원 과제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는 지난해의 9개 과제에 비해 크게 확대된 결과입니다. 이러한 지원은 중견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에 대한 활력을 불어넣어 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월드클래스 플러스 프로젝트
중견기업이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월드클래스 플러스 프로젝트는 유망 중견기업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이 프로그램의 예산은 지난해 160억 원에서 올해 284억 원으로 78%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예산 증가는 중견기업의 국제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글로벌 기업으로의 도약을 위한 기반을 제공할 것입니다.
- 중견-중소기업의 공동 연구개발 및 성과공유를 지원하는 상생형 혁신도약 사업이 있습니다.
- 중견기업과 지역 대학 간의 컨소시엄을 통한 지역 혁신얼라이언스 지원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 중견기업의 기술 혁신을 추진하는 공공연 기술혁신챌린지가 시행됩니다.
중견기업-지역 혁신얼라이언스 지원
지역 대학과의 협력을 통한 연구개발 지원이 더욱 강조됩니다. 중견기업-지역 혁신얼라이언스 지원 사업은 중견기업과 지역 대학 간의 컨소시엄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이 사업의 예산은 지난해 39억 원에서 올해 57억 원으로 46% 증가하였으며, 이는 지역 내 인재 양성과 학위·채용 연계 연구개발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중견기업과 지역 대학의 협력은 기술 혁신의 기회를 창출하며, 지역 경제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중견기업 재도약 지원
성장이 정체된 기업의 기술혁신을 지원하는 필수적인 프로그램입니다. 중견기업 재도약 지원 사업은 성장이 정체된 중견기업이나 중소기업으로 회귀한 기업의 기술혁신을 통해 경쟁력을 다시 확보하도록 돕습니다. 이를 위해 17억 원의 예산으로 4개의 신규과제를 선정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지원은 기업이 기술적으로 재도약할 수 있도록 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중견기업 핵심연구인력 성장지원
지원 사업명 | 예산 | 신규 과제 수 |
월드클래스 플러스 | 284억 원 | - |
중견-중소기업 상생형 혁신도약 | 156억 원 | - |
중견기업-지역 혁신얼라이언스 | 57억 원 | - |
이러한 중견기업 핵심연구인력 성장지원은 중견기업의 연구인력 채용을 지원하는 것으로 예산은 14억 원입니다. 이 프로그램은 중견기업이 새로운 연구 인력을 채용하여 인재 양성과 기술력 확대에 기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인재 확보는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핵심 요소 중 하나로, 많은 기업이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필요한 인력을 채용하게 될 것입니다.
산업부의 의지 및 협업의 중요성
중견기업의 기술혁신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박덕열 산업부 중견기업정책관은 "중견기업의 기술혁신을 통한 경쟁력 확보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여러 주체 간의 협업을 통한 연구개발이 동반 성장과 상생 협력 생태계 구축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첨단산업 분야의 협력 기반 구축에 더욱 힘쓰겠다는 의지를 나타냅니다. 다양한 분야의 협력은 혁신적인 결과를 창출하며,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지원 사업의 구체적 사항 확인 방법
이번 연구개발 지원 사업의 지원 조건, 평가 절차 등 자세한 사항은 산업부, 한국산업기술진흥원(KIAT), 한국중견기업연합회 등의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 기관의 웹사이트는 정보 제공의 용도로 활용되며, 모든 중견기업이 필요한 정보를 간편하게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문의 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 중견기업정책관의 중견기업지원과(044-203-4375)로 직접 연락하여 상세한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정책브리핑 및 저작권 안내
정책브리핑의 정책뉴스 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 하에 자유롭게 이용 가능합니다. 그러나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사를 이용할 경우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는 저작권법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올바르게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자료 출처: 정책브리핑 www.korea.kr
